내재가치가 저평가된 자산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로
저성장 시기에 투자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은 펀드입니다.
가치주 펀드는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저평가되어 있는 주식에 주로 투자한 후, 주식가격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아 상승하게 되면 차익을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입니다.
기업의 내재가치란 보유 자산 가치(현금, 우량자회사, 유휴 토지 등), 수익 가치(매출과 이익 등), 무형 가치(시장 점유율, 기술력 등) 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가치주 펀드는 이러한 내재가치를 분석하여, 안정적으로 이익이 성장하고 있거나 경쟁력 있는 사업모델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작은 기업규모,
적은 거래량 등으로 인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는 종목에 주로 투자합니다.
가치주는 성장주와 비교되곤 합니다. 가치주와 성장주를 뚜렷하게 구분하는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 가치주 | 성장주 |
---|---|---|
특징 | 내재가치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어 향후 주가가 제대로 평가 받게 되면 차익을 실현하여 수익을 추구 |
현재 성장률과 향후 발전가능성이 높은 기업의 주식으로 주로 경기 성장기에 계속적인 성장 기대를 통해 수익 추구 |
주가 | 저평가되어 가격이 낮은 편 | 기대성장률을 감안하여 가격이 높은 편 |
투자유의사항 | 기업가치의 반영기간이 필요하여 1년 이상의 투자에 적합 | 경기 성장기에는 높은 수익을 추구하나 경기 하락시에는 주가도 크게 하락할 수 있음 |
가치주 펀드가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가 저성장 국면에 들어서면서 투자자들의 가치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가치주 펀드도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가치자산을 평가하여 투자하는 방식인 저평가된 주식을 사서 오를 때까지 보유하는 장기 투자 전략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투자종목을 발굴하여
수익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M&A 밸류(또는 Private Market Value)라고 하는 회사 자체의 시장 가치를 판단하여 투자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 투자방법은 M&A 시장에서 기업이 받은 평가, 그리고 M&A 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업가치를 평가하여 투자합니다.
즉, 인수, 합병, 대주주의 변경 등의 M&A 이후 가치가 변하는 회사를 발굴하여 투자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전통 가치주 투자가 장기투자를 염두에 두고 수익을 추가하는 반면, M&A라는 이벤트 발생시 상승한 가치를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가치주 펀드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으므로 투자성향에 맞는 다양한 상품을 선택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삼성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19-020호(2019.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