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시장의 변동과 낮은 상관성을 가지면서
꾸준하고 안정적인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펀드입니다.
헤지펀드는 다양한 자산군을 대상으로 각 펀드들만의 특화된 전략을 사용, 시장에 대한 노출을 줄이면서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펀드입니다.
벤치마크를 추종하는 펀드와 달리 레버리지와 공매도(Short) 등 수익 확대를 위해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큰 차이점입니다.
레버리지
자금을 차입하여 투자수익을 증대시키는 방법. 차입하여 투자한 자산의 가치가 올라갈 경우 수익을 확대할 수 있지만,
예상과 달리 자산가치가 하락할 경우에는 손실폭이 커질 위험도 있음
공매도
주식 가격 하락이 예상될 때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빌려서 매도한 후 주식 가격이 하락하면 매입하여 주식을 갚음으로서 차익을 취하는 방법.
예상대로 가격이 하락할 경우 이익이 나지만, 예상과 달리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손실, 결제 불이행 등의 위험이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한정된 경우에만 공매도를 허용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이전에는 헤지펀드 설립을 허용하지 않고 있었으나 2011년 12월 헤지펀드 설립 규정을 제정하고 정부 주도로 헤지펀드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운용되는 헤지펀드를 ‘한국형 헤지펀드’라고 합니다.
헤지펀드는 펀드별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기에 정해진 전략을 규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형 헤지펀드에서 주로 사용하는 몇 가지 전략을 예시로 설명해 드립니다.
삼성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19-020호(2019.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