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ETF 보기
HBM 관련 국대급 장비주 최대 비중 보유! Kodex AI반도체 핵심장비 ETF
2023.11.20
2023년 상반기 주식시장의 주인공이었던 AI. AI반도체 생산량 글로벌 1위 엔비디아는 지난 6월13일 반도체 기업 중 최초 시총 1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향후에도 AI반도체 산업 규모는 지속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Open AI가 보여준 챗GPT 붐 이후, 일명 ‘매그니피센트7’라고 불리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앞장서서 AI에 공격적 투자를 진행중입니다. 메타는 AI 데이터 센터 건설을 착수 중이며, 아마존 또한 AI혁신센터 구축에 1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애플 또한 애플 GPT라고 불리는 AI기반 챗봇을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이렇듯 기술변화에 앞장서는 빅테크의 AI투자는 IT업계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산업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여기서 우리는 AI산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AI반도체 산업, AI반도체와 관련된 HBM메모리, AI반도체를 만드는 장비 기업을 눈여겨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11월 21일(화) 상장하는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ETF는 HBM 관련 장비주에 국내 최대 비중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투자포인트 1. 그냥 반도체가 아니다, AI반도체다
빅테크 기업들을 선두로 전세계적으로 AI관련 투자가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면서, 동시에 AI반도체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도 예상되고 있는데요. AI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가져와 빠르게 추론, 연산한 뒤 답을 내리기 위해서는 고성능, 고효율의 AI전용 반도체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022년 기준 12.1%를 차지하던 AI반도체는 2030년에 들어서 31.3%를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AI기술력이 대중화 되는 만큼 더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포인트 2. AI 반도체의 꽃 ‘HBM’의 정수만 담았다
AI반도체를 검색해보면 늘 따라오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바로 HBM인데요. HBM은 고대역폭 초고속 메모리의 약자로 높은 매모리 대역폭(처리량)을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를 말합니다. HBM은 인공지능 시대가 열리면서 가장 주목받은 메모리입니다. 챗GPT 같은 고성능 AI를 위한 반도체 설계에 필수적이며, AI반도체 공정의 새로운 트랜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AI에 HBM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간단히 짚고 넘어가 볼까요?
인공지능을 완성하는 중요한 단계는 학습과 연산입니다. AI는 학습을 하기 위해 단순한 사진, 글자 등의 조합을 넘어서 수백, 수억개의 데이터를 연결해서, 무수히 많은 답을 도출해내고, 더 정답에 가까운 답을 말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빠르게 연산하고 추론해야 합니다.
당연히 이 작업을 위해서는 AI에 전달되는 데이터양이 어마어마하게 많아야 합니다. AI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용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보다 훨씬 커야 하고, 한번에 처리하는 데이터의 속도도 굉장히 빨라져야 하겠죠.
HBM은 AI구현을 위해 메모리를 더 얇고 더 많이 수직으로 쌓아올려서 기존 반도체보다 고성능의 대역폭(처리량)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단사진참고)
2022년 11억 정도로 추정되는 HBM시장은 5년뒤에는 5배 정도 더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AI반도체에선 높은 대역폭(처리량)의 메모리인 HBM이 반드시 필요하기에 이 HBM을 만드는 반도체 장비 기업들에 대한 수요 역시 필연적으로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ETF는 HBM반도체를 만드는 공정에서 중요한 장비주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HBM관련 반도체 장비주를 국내 최대 83%비중으로 담고 있으니 HBM의 핵심을 집약적으로 담은 포트폴리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도체설계기업에서 반도체를 설계 후 종합반도체기업에 HBM을 주문하게 되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로 대표되는 종합반도체기업은 HBM제작을 위해 반도체 장비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 때문에 사실상 AI반도체의 꽃인 HBM의 ‘정수’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반도체 ‘장비’기업의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장비주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ETF는 HBM반도체를 제작하는 전,후공정과 패키징까지 제작단계의 전반을 아울러 혁신적인 기술력을 자랑하는 국내 장비기업을 우선 편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처럼 규모가 큰 대기업과 달리 기업명이 조금은 생소할 수도 있는데 왜 주목해야 하냐구요? 바로 이어서 다음 포인트를 보겠습니다.
투자포인트 3. HBM 수혜의 정점엔 ‘장비주’가 있다
앞서 HBM주문을 받은 종합반도체기업이 AI반도체에 들어갈 HBM제작을 위해 반도체 장비를 발주하는 사이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반도체 장비는 반도체 제작공정 및 신규주문 사이클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산업입니다.